책을 벗삼아 큰꿈을 키워가는 운남중학교

영양상담코너

  • HOME
  • 행정마당 > 식생활관
  • 영양상담코너

제목

가을 무의 효능

  • 작성자임혜경 이메일
  • 작성일2021/11/02 15:55
  • 조회254

가을 제철 음식은 무엇일까? 대체로 전어나 대하 등 단백질이 풍부한 해산물을 선택하는 사람이 많은데 가을에는 '무'가 인삼보다 좋다는 말이 있다. 도대체 무에는 어떤 성분이 들었기에 인삼보다 좋다고 하는건지, 어떻게 건강에 좋은 효과를 내는지 찾아봤다. 

찬바람이 불 때 더 맛있는 채소인 무는 기온이 내려갈수록 시원하고 달콤한 맛은 물론, 영양도 풍부해져 예로부터 ‘동삼(冬參)’이라 불렸다.

무에는 비타민C와 함께 포도당·과당·칼슘 같은 미네랄도 많아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를 보충해준다. 또 디아스타제와 아밀라아제가 소화를 돕기 때문에 과식으로 속이 더부룩할 때 먹으면 위가 편안해진다.

항암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알려진 글루코시놀레이트는 무 생장 단계 중 수확기인 파종 후 60일 이후부터 가장 많이 생성된다.

무의 진정한 참맛을 느낄 수 있는 가을무는 10월경 파종하며 청수색(근수부의 푸른색)이 진하고 형질이 단단한 것이 특징이다. 단맛이 돌고 톡 쏘는 청량감으로 김장에 빠질 수 없으며 아삭한 동치미, 총각무도 별미다.

맛있는 김장 무는 보통 모양이 곧고 잔뿌리가 없으며 표면이 하얗고 매끄러운 것이 좋다. 들었을 때 묵직하고, 살짝 눌렀을 때 단단함이 느껴져야 좋은 무다.

무의 윗부분에 나타나는 녹색이 전체 크기의 1/3 정도라면 잘 자라서 좋은 영양소가 듬뿍 담긴 무다.

무가 휘거나 두세 갈래로 쪼개진 것은 재배할 때 미숙 퇴비를 사용했거나 뿌리의 생장점이 손상된 것이므로 고르지 말아야 한다.

맛있는 알타리무(일명 총각무)는 모양이 예쁘고 잔뿌리가 많지 않아 표면이 깨끗하고, 뿌리와 잎에 병충해나 생리장해가 없고 색이 변하지 않아야 한다.

최근에 육성된 소형 무는 일반 김장 무보다 작지만 조직이 치밀해 겨울철 별미인 동치미를 담그면 더 아삭하게 즐길 수 있다.

무에 함유된 유황화합물(Allyl isothiocyanate, 유황화합물은 양파에도 많이 들어있는 성분)로 인해, 생으로 무를 먹으면 특유의 알싸한 맛을 느낄 수 있다. 

무를 썰거나 씹을 때, 미로시나제(Myrosinase)라는 효소가 활성화 되는데 이 효소는 무에 들어있는 특정 성분을 분해하여 알싸한 맛을 내는 유황화합물을 발생시킨다. 무를 식초에 담그면 이 효소가 불활성화 되어 알싸한 맛이 사라진다.

꿀, 배추, 생선 등 무와 궁합이 좋은 재료로 요리하여 섭취하면 맛 뿐 아니라 건강까지 챙길 수 있다.

무는 부위에 따라 맛이 다르므로 특성에 맞추어 조리방법을 달리하면 더 맛있게 먹을 수 있다. 

무의 윗부분 단맛이 강하므로 샐러드나 무채, 동치미 등에 사용하고 가운데 부분 조직이 단단하여 뭇국이나 전골, 조림 등의 요리에 사용한다. 무의 끝부분 매운맛이 강하므로 열을 가하거나 발효시키는 볶음이나 무나물에 사용한다.

시래기는 가을철 무를 수확하고 잘라낸 무청을 겨우내 말린 것으로, 먹거리가 부족한 과거에 훌륭한 영양공급원으로 활용했다. 나이아신, 나트륨, 단백질, 당질, 레티놀, 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B6, 비타민C, 비타민E, 식이섬유, 아연, 인, 지질, 철분, 칼륨, 칼슘 등 시래기에는 여러 종류의 미량원소가 들어있어 한 번에 대량섭취 가능하다.

잘 말린 시래기는 시래기밥, 된장국 등으로 요리하면 밥만 있어도 든든한 한 끼 식사가 될 수 있다. 식이섬유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최근 현대인의 건강을 챙겨주는 특별한 웰빙식품으로 각광 받고 있다.

이외에 열무 소화 작용을 촉진하며 사포닌 성분이 혈중 콜레스테롤을 줄여주어 혈압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비타민과 칼슘 등이 풍부하여 뼈와 치아를 튼튼하게 한다. 열무는 5~8월에 파종하며, 시원하고 아삭한 식감을 즐기기 위하여 여름에 주로 시원한 물김치로 이용할 수 있다.

알타리무 기침, 가래, 인후통에 좋으며 이뇨작용을 촉진하고 니코틴의 해독과 노폐물 제거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알타리무는 9월에 파종하며 파종 후 60일 후에 수확한다. 단단하고 매운 맛의 알타리무 김치로 이용하는데 밑동이 윗부분보다 굵고 단단한 것이 좋은 알타리무이다.


전체 22건, 1/2페이지

연번 제목 파일 작성자 작성일 조회
22 일반 게시글식품의약품안전처 홍보자료(덜 달고 덜짜게 먹기 )안내 덜달고덜짜게먹기홍보자료(PDF).pdf 다운로드+1 임혜경 2023/09/27 136
21 일반 게시글장건강을 위한 최고의 음식과 최악의 음식 임혜경 2023/09/27 143
20 일반 게시글고열량저영양식품 고열량·저영양식품바로알기.hwp 다운로드 임혜경 2023/09/11 134
19 일반 게시글음식물폐기물 음식물폐기물.hwp 다운로드 임혜경 2023/09/11 170
18 일반 게시글들깨의 효능 임혜경 2023/06/05 186
17 일반 게시글춘곤증 예방에 좋은 봄철 음식 임혜경 2023/03/31 162
16 일반 게시글당 저감화 실천을 위한 교육자료 당섭취줄이기교육자료(1).hwp 다운로드 임혜경 2023/03/08 185
15 일반 게시글나트륨 저감화 실천을 위한 교육자료 나트륨섭취줄이기교육자료.hwp 다운로드 임혜경 2023/03/08 171
14 일반 게시글GMO 교육 자료 2_GMO교육자료.pdf 다운로드 임혜경 2022/10/05 212
13 일반 게시글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음식물쓰레기줄이기(3월))_.hwp 다운로드 임혜경 2022/03/08 214
12 일반 게시글NON-GMO에 관한 자료 영양소식Non-GMO.hwp 다운로드 임혜경 2022/03/08 231
11 현재 보고 있는 게시글가을 무의 효능 임혜경 2021/11/02 254
10 일반 게시글비만을 예방하는 식습관 식단에표시될12가지알레르기유발식품.hwp 다운로드 임혜경 2021/08/19 249
9 일반 게시글건강하게 탄수화물 먹는 방법 식단에표시될12가지알레르기유발식품.hwp 다운로드 임혜경 2021/06/03 263
8 일반 게시글노로바이러스 식단에표시될12가지알레르기유발식품.hwp 다운로드 임혜경 2021/03/22 288
7 일반 게시글독감도 이겨 낼 수 있는 면역력 식품 식단에표시될12가지알레르기유발식품.hwp 다운로드 임혜경 2020/11/11 292

맨처음이전 5페이지12다음 5페이지마지막